http://cafe.daum.net/WorldcupLove/R6/588685
한편 AFC가 2006~2008년에는 AFC챔피언스리그 총상금 규모로 400만달러를 책정했다가 이러한 상황에서 내년부터 AFC가 벌어들일 마케팅수입이 기존보다 4배가 넘게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지금 당장 AFC가 AFC챔피언스리그 상금 이외에 다른 분야에 쓰는 돈이 연간 1600만달러인데 얼만큼 상금 규모가 증가할지는 모르겠지만 많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각국 리그들에게 큰 이익입니다. 물론 상금 규모가 전부는 아닙니다.
아무리 넉넉하게 쓰더라도 8400만달러 정도(현재 총상금 규모의 7배)는 충분히 쓸 수 있다고 보고요. 물론 1억달러 정도 책정을 하더라도 유럽에 비하면 10분의 1 정도라서 많이 작아보일 수 있지만 즉, 잠재력이 엄청나니 나중에 가면 이보다 더 많이 늘어날 가능성이 매우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계산의 편의상 1달러=1000원이라고 할때 1억달러는 1000억원입니다. 그냥 짱깨식계산과 비스무리하겠지만 이 돈을 단순히 균등분배한다 쳐도 팀당 얼추 35억원 가까이 받게 됩니다.
여기에 시민구단이냐 기업구단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직접적인 상금수입을 제외한 각종 수입을 더하면 그 비중은 더 커집니다.시민구단이라면 아예 직접적으로 해외 시장을 겨냥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유니폼 광고를 판매하여 많은 돈을 벌 수 있겠고 기업구단이라면 모기업을 직접 유니폼을 통해 홍보할 수 있으니 광고 효과라는 간접적인 효과를 많이 볼 수 있고요.여기에 비록 짜잘하겠지만 추가적인 입장수입, 추가적인 상품판매수입 등을 더하면 더 커지고요.계산의 편의상 9600만달러로 상금 규모가 늘어난다고 치고 계산을 해보면 아래와 같이 가정이 가능합니다. 물론 그냥 계산의 편의상 현재의 상금 체계에 곱하기 8만 했습니다.근데 상금 규모가 커지면 상위 토너먼트에 더 많이 상금의 비중을 둘테니실제로 받을 수 있는 상금이 더 많아질 가능성이 더 높겠죠. [ 항목 - 현재 상금 - 예상 상금 ] 조별리그 승리 : 4만달러 -> 32만달러 16강전 참가지원금 : 5만달러 -> 40만달러 8강전 참가지원금 : 8만달러 -> 64만달러 4강전 참가지원금 : 12만달러 -> 96만달러 우승상금 : 150만달러 -> 1200만달러 이렇게 되면 우승팀이 최대 1800만달러(180억원)이라는 엄청난 상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물론 그외의 추가적인 입장수입, 광고수입도 고려해야지만 말입니다.)참고로 180억원이 전부는 아닙니다. 만약에 우승을 차지하게 되면 클럽월드컵 출전을 통해 대략적으로 20~30억원 정도의 상금수입 등을 더 벌 수 있고클럽월드컵을 통해 AFC챔피언스리그보다도 더 큰 수준의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으니 말입니다.설령 우승과 거리가 멀더라도 이렇게 우승 상금이 늘어나면 16강만 진출해도 엄청 많이 벌 수 있습니다. 16강전에 진출하려면 승점 10점은 되야 하니 3승 1무 2패 정도로 불안하게 16강에 갔다고 쳐도 184만달러입니다. 184만달러면 현재 AFC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했을때 벌 수 있는 상금 규모입니다. 20억원 + 챔피언스리그를 통한 추가수입 + 16강 진출 홍보효과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더욱 더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것이고요. 특히 운영비가 100억원 남짓하거나 그보다 더 낮은 시민구단의 경우에는 AFC챔피언스리그에 진출만 해도 7억원은 기본으로 벌고 16강만 가더라도 상금만으로도 20억원은 벌 수 있는데다가 여기에 AFC챔피언스리그 홍보 효과를 겨냥한 광고 판매를 하여 추가적인 광고수입을 벌어들이면 엄청 많이 벌 수 있죠. 아무튼 내년부터 AFC의 마케팅수입이 급증하게 되었고 이러한 돈들이 얼만큼 AFC챔피언스리그로 들어올지는 모르겠지만 AFC챔피언스리그로 많이 들어오면 들어올수록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AFC가 AFC챔피언스리그, AFC컵을 추가적으로 개편함으로써 AFC챔피언스리그, AFC컵의 메리트를 높이면 더더욱 큰 효과를 보게 될 것입니다. 한편 구단, 연맹 차원에서도 이러한 부분을 잘 활용해서 K리그의 수준 및 흥행 발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아무튼 AFC가 AFC챔피언스리그 상금 규모를 최대한 확대함과 동시에 출처는 K리그 월드입니다. |
'축구 그 이상의 소식 > Today As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에서 열린 VFF컵 대한민국 우승!!!! (0) | 2012.10.30 |
---|---|
[스크랩] 수원시민이 바라보는 수원 FMC 해체사태, 그리고 염태영 시장 (0) | 2012.10.23 |
안녕 사샤...굿바이 사샤 오그네노브스키 (0) | 2012.07.02 |
대한민국의 등록되지 않은 축구선수는 과연 몇명일까? (0) | 2012.07.02 |
K리그 19라운드 결과 및 순위, 골순위 등 (0) | 2012.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