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구 그 이상의 소식/호이링_칼럼

210개 피파 회원국중 월드컵, 올림픽 4강 동시 진출국은 전 세계 몇 나라?

by 호이링 2012. 8. 10.

토요일 새벽에 역사상 최고의 한일전이 될 올림픽 3,4위전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벌써부터 두근되고, 그리고 메달을 가져갈 수 있을지 무척 기대되는 경기입니다. 하지만 메달을 따지 못하더라도 그들이 이룩한 태극전사가 이룬 성과는 정말 대단합니다. 올림픽에서 4강이상 진출한 국가는 총 37개국가이며, 아시아에서는 호주, 일본, 인도, 이라크, 아랍연합공화국이 올림픽 4강에 진출했었죠. 아랍연합공화국은 이집트와 시리아가 합병한 국가이나, 나중에 다시 분리되었던 국가죠 이집트가 포함되어 있기에, 실질적인 아시아국가라 하기 어렵고, 호주의 4강은 오세아니아연맹에 소속되어 있을 당시의 성적이라서 아시아국가의 성적이라고 할 수 없을겁니다. 순수한 4강이상 아시아 국가는 일본, 인도, 이라크입니다. 인도가 4강에 진출했다니..정말 의외군요 인도는 1956헬싱키 올림픽에서 4위를 했는데 이때 아시아 축구강국이었던것 같습니다. 아시아 국가중에 유일하게 메달을 딴 국가는 일본입니다. 


 대한민국과 인도의 국가대표 경기사진

이라크 대표팀의 올림픽 4강진출 사진




일부 네티즌들이 올림픽축구에 대해 폄하하는 듯한 발언을 하는데 피파 주관의 최고권위 경기는 월드컵, 그 다음이 바로 올림픽입니다. 23세 이하 국가대표선수와 와일드카드로 23세 이상 선수 3명이 되어 있는데 월드컵 다음으로 권위를 인정해주는 경기입니다. 그런 경기에서 4강에 진입을 했다는 것은 축구역사에 충분히 남을 수 있는 자랑스러운 역사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축구역사에서 일본보다 못한 것은 없었지만 아킬레스건 처럼 가지지 못한 것이 있었습니다. 바로 올림픽메달입니다. 일본은 1968년멕시코올림픽에서 홈팀 멕시코를 2대0으로 제압을 하고 동메달을 획득하는데요 당시 올림픽 축구 득점왕은  가마모토구니시는 선수가 7골로 득점왕에 오르게 됩니다. 대한민국 월드컵 4강 이전에 아시아 축구의 찬란한 역사의 일부였던 일본대표팀의 동메달 획득은 월드컵 4강이전까지 그져 부러움의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2002년 월드컵 4강으로 일본의 올림픽 동메달의 부러움을 한 순간에 날려버렸지만 올림픽에서 메달이 없었다는 것은 한국축구 역사에 있어 일본에게 지고 있는 유일한 역사였습니다.


 가마모토 구니시게 (FW) 釜本 邦茂

가마모토의 멕시코 올림픽 경기사진



이제 대한민국 축구 역사에 새로운 큰 획이 그어지려고 하고 있습니다. 아시아의 맹주를 확인하고, 아시아 축구를 넘어 세계축구의 강호로 거듭나고자 일전의 대결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월드컵 4강, 올림픽 4강을 동시에 달성한 국가는 전세계적으로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22개국만 있을뿐입니다. 


2012년 기준 UN에 등록한 국가가 193개국이며, IOC에 등록한 국가가 205개 국가, FIFA에 등록된 축구협회가 210개입니다. 그 중에 월드컵과 올림픽 4강에 진출한 국가는 단 22개 국가이며, 이는 정말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정말 기분 좋은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는 대한민국 축구국가대표팀 백호...일본에게 이겨서..호랑이의 포효를 맘껏 지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그 찬란하고 자랑스러운 역사를 대한민국의 이름하에 후손들에게 물려줍시다..대한민국 축구 화이팅,...대한민국 풀뿌리 축구 화이팅





역대 올림픽 4강 결과


연도 개최국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4
1896 아테네 없었음      
1900 파리 영국 프랑스 벨기에  
1904 세인트루이스 캐나다 미국    
1908 런던 영국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1912 스톡홀름 영국 덴마크 네덜란드 핀란드
1916 베를린 1차대전      
1920 앤트워프 벨기에 스페인 네덜란드 이탈리아
1924 파리 우루과이 스위스 스웨덴 네덜란드
1928 암스테르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이집트
1932 로스앤젤레스 없었음      
1936 베를린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폴란드
1940 헬싱키 2차대전      
1944 런던 2차대전      
1948 런던 스웨젠 유고슬라비아 덴마크 영국
1952 헬싱키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스웨덴 서독
1956 헬싱키벨버른 소련 유고슬라비아 불가리아 인도
1960 로마 유고 덴마크 헝가리 이탈리아
1964 도쿄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독일 아랍연합공화국
1968 멕시코시티 헝가리 불가리아 일본 멕시코
1972 뮌헨 폴란드 헝가리 소련 동독
1976 몬트리올 동독 폴란드 소련 브라질
1980 모스크바 체코슬로바키아 동독 소련 유고슬라비아
1984 로스앤젤레스 프랑스 브라질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1988 서울 소련 브라질 서독 이탈리아
1992 바르셀로나 스페인 폴란드 가나 호주
1996 애틀란타 나이지리아 아르헨티나 브라질 포르투갈
2000 시드니 카메룬 스페인 칠레 미국
2004 아테네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이탈리아 이라크
2008 베이징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브라질 벨기에

역대 월드컵 4강 결과 
연도 명칭 우승 준우승 3위 4위
1930 우루과이 월드컵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미국 유고슬라비아
1934 이탈리아 월드컵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독일 오스트리아
1938 프랑스 월드컵 이탈리아 헝가리 브라질 스웨덴
1950 브라질 월드컵 우루과이 브라질 스웨덴 스페인
1954 스위스 월드컵 서독 헝가리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1958 스웨덴 월드컵 브라질 스웨덴 프랑스 서독
1962 칠레 월드컵 브라질 체코슬로바키아 칠레
1966 잉글랜드 월드컵 잉글랜드 서독 포르투갈 소련
1970 멕시코 월드컵 브라질 이탈리아 서독 우루과이
1974 서독 월드컵 서독 네덜란드 폴란드 브라질
1978 서독 월드컵 아르헨티나 네덜란드 브라질 이탈리아
1982 스페인 월드컵 이탈리아 서독 폴란드 프랑스
1986 멕시코 월드컵 아르헨티나 서독 프랑스 벨기에
1990 이탈리아 월드컵 서독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잉글랜드
1994 미국 월드컵 브라질 이탈리아 스웨덴 불가리아
1998 프랑스 월드컵 프랑스 브라질 크로아티아 네덜란드
2002 한일 월드컵 브라질 독일 터키 대한민국
2006 독일 월드컵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포르투갈
2010 남아공 월드컵 스페인  네덜란드 독일 우루과이

올림픽 4강이상 진출국
이탈리아 7회
독일(동독포함, 서독) 6회
유고슬라비아 6회
브라질 5회
소련 5회
헝가리 5회
네덜란드 4회
덴마크 4회
스웨덴 4회
아르헨티나 4회
영국 4회
폴란드 4회
벨기에 3회
스페인 3회
나이지리아 2회
불가리아 2회
우루과이 2회
체코슬로바키아 2회
미국 2회
가나 1회
노르웨이 1회
멕시코 1회
스위스 1회
아랍연합공화국 1회
오스트리아 1회
이라크 1회
이집트 1회
인도 1회
일본 1회
칠레 1회
카메룬 1회
캐나다 1회
파라과이 1회
포르투갈 1회
핀란드 1회
호주 1회


월드컵 4강이상 진출국
독일 12회
브라질 10회
이탈리아 7회
프랑스 5회
우루과이 5회
아르헨티나 4회
스웨덴 4회
네덜란드 4회
유고(크로아티아포함) 3회
헝가리 2회
폴란드 2회
포르투갈 2회
체코슬로바키아 2회
잉글랜드 2회
오스트리아 2회
스페인 2회
터키 1회
칠레 1회
소련 1회
불가리아 1회
벨기에 1회
미국 1회
대한민국 1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