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글 올리는..야구 좋아하는 분들이
너무..축구를 까는 글을 올리기에..
제 스스로 우리나라 축구의 현실을 알아야 겠다는 생각하에 요즘 학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에 가서 축구관련 논문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축구 논문에 주 내용은 대부분 마케팅이나,수익구조 이런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으나, 요약해서 축구환경이나 현실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 있어, 이부분에 대해 알고 있어도 우리의 환경을 어느정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제가 찾은 논문은 주로 마케팅과 관련되는 부분인데 우선
1. 동북아 프로축구리그의 개발과 활성화방안
2. SBS방송국의 월드컵, 올림픽 중계와 시청률
3. 한국프로축구의 리그의 국제화전략
4. 직장인들의 해외 프로축구 중계방송 시청동기 등 등등
좋은 논문이 많이 있더라고요
물론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어렵지만..간단간단..필요한것만..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내용중에 한국프로축구의 수익구조와 관련된 부분이 있어 한자 옮깁니다.
『한ㆍ중ㆍ일 동북아 프로축구리그』
모델 개발과 활성화 방안
(박사학위 논문입니다)
세종대학교 대학원
김 원 동
체 육 학 과
1.한국 프로축구(K-리그)현황
1)K-리그의 창설과정
국내 프로축구의 시작은 국민들의 정치적 관심을 분산하려한 5공 정권의 작품으로,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에 대비한 아마추어 육성이라는 당시 체육부의 어설픈 주장
과 함께 프로축구 본연의 취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이루어졌다(서준형,2003).창단을
준비한 실무진들은 최초에 은행권을 대상으로 창단을 유도했으나,대부분이 창단을 거
절하여 난항을 겪게 되었다.그러나 세미프로 형식으로 시작된 경기에 의외로 국민들이
좋은 반응을 보이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하였다.그리고 해외에 나가서 활동하
던 선수들이 국내로 들어오는 등 활력을 띠게 되자,정부차원에서 대기업을 압박하며
적극적으로 구단 창단에 개입(김덕기,1991)하게 되어 창단하는 구단의 이름에는 대
부분이 기업의 이름을 사용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이러한 역사적 이유는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며,오히려 이제는 프로구단의 구단명을 이용하여 기업의 광고 전담부
서 역할에 더 열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2)현황 및 규모
2006년 각 종목별 연맹(2006)내부 자료에 따르면 현재 프로축구 종목의 보유 선
수는 14개 구단 538명으로 조사 되었다.또한 2002년 프로스포츠 팀 시장 규모는 약
3,606억 원에 이르고 이중 프로축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33%인 1,160 억원을 기
록하고 있다.
또한, 프로축구 관중 현황을 살펴보면, 1996년 총 관중 190만명, 평균 관중
10,600명이던 것이 1997년에 총 관중 120만명,평균 6,700명으로 줄었다.1990년
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한국경제의 총체적 위기인 IMF를 맞이하게 되었다.사회곳곳에
실업자수가 증가하고 경제지표는 한없이 추락하고 있었다.국민들의 소비심리는 위축되
고 하루아침에 실업자가 된 실직자들은 돈 안 드는 시간 떄우기 식의 여가형태를 찾는
현상이 벌어졌다.그 종류를 살펴보면,등산,공원산책,낚시,스포츠 관람 등이었다.
이러한 경제적 특수성에 기인하여 프로축구 관람객들은 1998년과 1999년에 계속 증
가 추세를,다시 2000년에는 하락세를 보이다.2002년 한일월드컵을 앞두고 축구에
대한 열기가 고조되고,프로축구 각 구단들의 관중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의 노
력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2002년 기준으로 2백 6십만명,평균 관중14,600명으로 비
약적 발전을 하였다(김진국,2003).그러나 2003년에는 유명선수들의 잇따른 해외진
출,국가대표팀의 계속된 졸전,국내 경기 위축으로 감소되어 총 관중 240만명,평균
관중 9,241명으로 급격히 감소되었다.특히 2002한일 월드컵에서 보여준 붉은악마들
의 프로축구 살리기 운동인 ‘CU@K-리그’열풍은 일시적이나마 한국 프로축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불러 모으기에 충분한 참신한 아이디어였다고 볼 수 있다.
3)한국프로축구연맹
(1)연혁
한국 프로축구는 1983년 세미프로 형식을 띄며 탄생되어,3개의 프로팀(대우,유공,
포항제철)과 3개의 실업팀(국민은행,한일은행,할렐루야)으로 초창기 프로 리그를 가
속회되기 시작하였다(김종필,2003).1989년에는 일화 천마 프로축구단이 창단이 되
어 6개 팀의 경기로 93년까지 이어져왔다.94년에는 전북,95년 전남,96년 삼성이
창단됨으로써 한국적 프로축구 발전은 가속화되었고,97년 대전 시티즌이 10번째 구
단으로 창단되었다.1998년에는 한국 프로축구의 고유명칭으로 ?K-리그?를 사용하
기 시작하였다.2003년에는 국내 최초의 시민구단인 대구 FC가 창단되었으며,상무대
의 광주 상무 불사조는 우수한 축구 인재들의 병역활동과 국내 프로축구 리그의 활성
화를 위해 참가하게 되었다.2004년 2월에는 2002한일 월드컵으로 인해 지역프로축
구 구단의 필요성을 인식한 인천시민들이 인천 유나이티드 FC라는 시민구단으로 프로
리그에 참여하게 되었다(김진국,2003).
(2)조직도
프로축구는 연맹과 구단이라는 조직에 의해 운영되는데,그 가운데 연맹은 구단이나
팀들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리그를 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따라서 연맹에서는 각
종 규약을 제정하고,중계방송권,스폰서의 계약을 담당하며,신규가입 팀의 결정은 물
론,각종 분쟁의 조정 등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된다(강현민 2000).
한국프로축구연맹(K-리그)은 규약과 운영 세칙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는데,이러한
연맹에서는 우선 각 팀 대표들을 운영 위원으로 삼고 경기운영 및 관리 업무를 총괄하
며 팀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정부를 상대로 협회에 소속된 팀들의 제반 무제를 법률적
으로 또는 정책적 지원을 획득하며,광고에 따른 수익을 결정 배분하고 홍보하는 역할
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조직은 회장을 정점으로 각 팀의 구단주들이 주축이 되는 총회
와 구단 사장이나 단장이 이사회를 구성하여 리그 전반의 중요사안에 대한 결정권한을
부여하고 있으며,실제적인 업무와 경기 운영을 위한 결정권한을 부여하고 있으며,실
제적인 업무와 경기운영을 휘한 분과별 위원회와 사업부서로 나뉘어져 있다.한국프로축구연맹은 독립적인 조직 형태로 갖춰진 타 프로스포츠 위원회와는 달리 대한축구협
회의 하부 조직을 구성되어 있다.1983년 대한축구협회 산하 프로연맹을 발족되어
1987년 한국 프로축구위원회라는 이름으로 독립하였으나,계속되는 프로축구의 퇴보
속에 재정난에 부딪히며 1989년 다시 대한축구협회로 흡수,1994년 현 한국프로축구
연맹(K-리그)으로 분리 독립 하였다.
(3)수입구조
프로축구 수입구조를 살펴보면 입장수입,방송 중계권료,스폰서십을 통해 수익사업
이 이뤄지고 있으며 스포츠마케팅 사업은 대부분이 광고회사의 특화된 스포츠 사업 또
는 스포츠마케팅 부서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1999년 프로축구의 수입규모를 살펴보
면,프로축구는 광고료 수입이 82억원(29%)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식음료 및 주
차수입이 60억 5천만원으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① 입장 수입
괌람스포츠 산업으로서의 프로스포츠에 있어서 제반 수입은 입장수입에서 비롯된다.
국내 프로리그의 수입원이 중계권료,라이센싱 수입,식음료 수입,주차 수입 등 매우
다양해졌지만 아직까지도 미국 등의 선진국과는 달리 모기업의 광고수입을 제외한 수
입의 주된 원천은 입장수입이라고 할 수 있다(심한섭,2005).프로축구 입장수입 분배
구조를 살펴보면 프로축구는 홈팀과 원정팀의 분배가 각각 71%,0%이며,지방 자치
단체가 24%를 국민체육진흥 기금으로 5%를 분배하고 있다.프로축구 입장수입을 살
펴보면 2002년의 경우 181경기에 평균 입장수입 약 8,800만원,총 입장수입 약 35
억 원을 기록했다.
② 방송중계 수입
2000년의 경우 총 21억 8천만원의 수입(공중파 3사 13억원,해외방송사인 JskyB
와 스타 TV로부터 6억 8천만원 지역 방송사로부터 약 2억원)을 올렸다.월드컵을 전
후로 중계수입이 더 늘어났으나 여전히 미국의 방송중계권료의 1/10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프로축구는 2001~2005년까지 KBS와 독점 중계계약을 체결했으며,계약금은
155억원이다.
③ 스폰서십 수입
K-리그는 1994년 정규리그에서 지금의 하이트사인 조선맥주의 스폰서를 받았다.그
리고 2002년까지 아디다스사의 후원으로 아디다스컵 축구대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2006시즌 K-리그는 삼성전자와 정규시즌과 컵대회,올스타전,슈퍼컵279경기에 총
34억원 후원계약을 체결했다.
대한축구협회는 2003년도 한 해 동안 공식후원금 약 180억원에 이르고 있다.우리
나라 기업 100개 업체 중 60개 업체가 국가대표 축구팀에 스폰서를 원할만큼 국가대
표 축구팀의 브랜드 가치는 최고를 달리고 있지만(조성식,2003),프로축구의 인지도
는 낮은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다(심한섭,2005).
④ 광고 수입
프로스포츠 구단에 있어서 광고수입으로는 구장 수입,유니폼 광고,인쇄물 광고 등
이 있다.하지만,국내의 경우 구장 광고권의 대부분은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 외에는 프로스포츠 구단의 자체 수입원이 되기는 힘든데,펜스 광
고와 같은 구장 광고권을 비싼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는 구단에서 행사할 수 없다는 사
실을 구단의 재정 자립을 약화시키는 커다란 장애요소 가운데 하나가 된다(심한섭,
2005).
⑤ 구장 수입
구장 수입은 크게 식음료 판매,기념품 및 용품 판매,주차료 수입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이들 수입은 관중 수에 정비례한다.하지만 국내의 경우 이들 판권의 대부분은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되어 있어 구장을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국내 프로구단은 구장
수입에 대한 지분을 요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김종,박현종,1998).프로축구는
월드컵 경기장 사후처리 방안으로 헬스센터,대형할인매장,영화관 등의 임대 사업으로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상 구단의 수입에 대해서 한번 살펴봤습니다
내용을 보면 알찬것들이 많아서..쭉 한번 보고 한번씩 중요한 내용들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홈페이지에 가면 무료로 논문을 다운 받아 보실수 있습니다.
'축구 그 이상의 소식 > 호이링_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관우 선수..빨리 복귀하시길 (0) | 2011.10.19 |
---|---|
보편적 시청권과 채널선택권의 논리 (0) | 2011.10.17 |
뒷통수 조심해라... (0) | 2011.09.16 |
(김현회 칼럼)AFC, 중계 없는 K리그에 철퇴를 (0) | 2011.09.16 |
R리그 폐지보다는..ㅋㅋ 다른구단으로..창단하는건 어떠나요 (0) | 2011.09.16 |